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싶다면 읽으세요!
4명이 개개인의 feature-issue-#[number]
라는 branch
를 만든다.
코드를 작성하고 자신의 feature-issue-#[number]
의 branch
에 push
한다.
develop
branch
에서 feature-issue-#[number]
를 합친다.
개발이 어느 정도 완성이 되면 relesase
branch
에 올린다. 여기에서는 버그만 잡는다.
버그를 다 잡으면 master
branch
에 올린다 => 배포
hotfixes
: master
에 올렸는데 갑자기 버그가 발생할 경우,
hotfixes
branch
를 임시로 만들어서 버그만 잡고 master
에서 다시 배포
원본 깃허브를 복사해서 내 계정의 repository( 복사본 폴더 fork
)를 만든다
= 원본을 fork 한다. (원본에 대한 안정성 유지)
push
할 수 있다. 팀원은 본체에 직접적으로 push
할 수 없다.fork
뜨고 feature
branch
를 만든고 기능구현 각자의 vscode에 $git clone _자신 레포지토리의 fork한 어드민 레퍼지토리 주소_
한다.
feature
branch
를 만들고 기능 구현하고 코드를 만든다.
feature
branch
를 복사본(fork
)에 push
를 한다.원본에 pull request(pr) 한다. (= 원본계정에 올리는 과정)
팀장이 팀원이 pr한 feature
를 합쳐줘야한다(merge
). => 다음 날 아침에 합치기. 회의하면서 문제될 부분 빼고(close
) 합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