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드민 레포지토리에서 _Fork
vscode에서 $git clone _자신 레포지토리의 fork한 어드민 레퍼지토리 주소_
어드민 레포지토리에서 Issue page에서 New issue 생성하면 이슈번호 자동으로 생성
vscode에서 feature branch
를 만든다
$ git checkout -b feature-issue-#이슈번호
$ git checkout -b
: branch
를 만들어서 checkout
(이동한다) = 만들어서 이동한다.$git branch
로 현재 branch
가 feature-issue-#이슈번호
가 맞는지 확인한다.코드 작성 후
$ git add .
$ git commit -m "커밋메시지"
$ git push origin feature-issue-#이슈번호
명령어로 코드를 저장한다.
내 git 계정에서 feature-issue-#5에 저장된 내용을 원본의 develop
branch
로 pull requests 한다!!!!
pr 날릴 때 내 git의 fork 폴더에서 진행
원본계정에서 pr 날릴때 폴더 선택 매우 중요!!!!
어드민이 merge 한다.
어드민이 merge하면 어드민 레포지토리가 변경되었으므로 어드민으로 부터 pull 해야한다.
pull 하기 위해서는 $ git remote add upstream _어드민 레포지토리 주소_
생성한다.
upstream
= 어드민 레포지토리의 원본$ git remote -v
어드민 레포지토리의 업데이트된 내용을 pull 한다. $ git pull upstream develop
vscode에서 업데이트된 내용과 어드민 레포지토리 코드를 비교하며 pull이 잘 성공했는지 확인한다.
전체적인 코드 흐름
git 에서 fork → git clone _레파지토리주소_
→ New Issue 생성 → 아래 과정